취객 제압 과정에서 여경의 대응이 서툴렀다는 이른바 '대림동 여경 논란'과 관련해 '여경 무용론'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성 대결적 논쟁보다는 경찰에게 주어진 대응 권한이 적절한지부터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박광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건은 지난 13일 밤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의 뺨까지 때리며 저항하는 취객을 제압하면서 시민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등 여경의 대응이 미숙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"남자분 한 분만 나와주세요. 빨리빨리 남자분 나오시라고요. (수갑 채워요?) 채우세요. 빨리 채우세요." <br /> <br />경찰은 여경이 시민에 도움을 요청한 건 매뉴얼을 어긴 게 아니고, 수갑을 채워달라는 건 다른 경찰에게 한 말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고, 여경이 필요 없다는 '여경 무용론'으로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정치인도 체력 검사 문제를 들어 논란에 가세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은 SNS에 여경 무용론은 여경에 대한 국민의 불신 때문이라며 부실 체력 검사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릅니다. <br /> <br />남녀를 따지기에 앞서 경찰에게 주어진 현장 대응 권한부터 살펴봐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막무가내식 폭력 앞에서도 테이저건 등 장비 사용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들이 문제라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이웅혁 /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: 외국 같은 경우는 공권력에 대한 도전과 법 집행 위반사항은 강력한 장비·장구를 사용해서 제압하기에 설령 여성 경찰이 근력과 완력이 다소 부족해도 그것이 이슈화되는 상황으로 치닫지 않는 것이죠.] <br /> <br />경찰 업무와 관련해서도 체력 이외의 평가 기준도 많다며 소모적인 논쟁의 확대를 경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양지열 / 변호사 : 꼭 물리적 체력이 압도적 우위에 있는 사람만이 종사하는 그런 업무는 아니지 않습니까. 과거보다도 오히려 물리적인 힘을 쓰는 쪽에서 경제범이라든가 여성청소년에 관한 범죄라든가….] <br /> <br />물론, 경찰 특성상 최소한의 체력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여경 15% 시대를 앞두고 '남경은 현장, 여경은 내근'이라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조정하고, '시험 승진' 등 현장 경찰이 불리한 문제도 해결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염건웅 / 유원대학교 경찰소방행정학부 교수 : 미국, 영국, 캐나다, 싱가포르 같은 경우도 남녀 채용의 규정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2022170759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