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따오기는 이렇게 동요로 만들어질 정도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새였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1979년을 끝으로 우리나라 야생에서는 사라졌는데요. <br> <br>40년 만에 다시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방사장 문이 열리자 따오기들이 날개를 펴고 힘차게 날아 오릅니다. <br> <br>1979년 판문점 비무장지대에서 1마리가 관찰된 이후 40년 만입니다. <br> <br>이번에 방사된 따오기는 40마리. <br> <br>멸종 40년 만에 방사한다는 의미를 담아 선정돼 석달간 특별 훈련도 받았습니다. <br> <br>[이성봉 / 우포따오기사업소 따오기관리계장] <br>"비행하는 훈련, 먹이먹는 훈련, 대인대물 적응 훈련, 울음소리 적응 훈련 등을 실시했습니다." <br> <br>따오기 복원사업은 지난 2008년 중국에서 따오기들을 기증받으면서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창녕군 우포늪 일대에 복원 센터를 설치하고 10년에 걸친 노력 끝에 4마리였던 따오기는 363마리까지 늘었습니다. <br> <br>[배유미 기자] <br>"오늘 자연으로 돌아간 따오기들은 이 앞으로 보이는 우포늪에서 살게됩니다." <br><br>관건은 향후 생존률입니다. <br> <br>토양 오염 등으로 먹이가 부족해 상당수가 폐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우리보다 먼저 따오기를 방사했던 일본도 3년 생존율은 40%에 그칩니다. <br> <br>창녕군은 사람들이 따오기 서식지에 접근하는 걸 막기 위해 CCTV와 감시원을 배치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[박희천 / 조류생태환경연구소장] <br>"갑자기 위협을 가한다든가 무언가를 던진다든가 교란을 하면 (따오기에게)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." <br> <br>40년 만에 우리 품으로 돌아온 따오기가 야생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유미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김덕룡 <br>영상편집 오수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