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명의 사상자를 낸 강릉 폭발사고에서 보듯 국내에서 발생하는 화학 사고는 업체가 몰려 있는 공단이나 산단에서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관계기관들이 대책 마련에 나서면서 발생 빈도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, 사고는 잊을 만하면 터지며 되풀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데이터저널리즘팀 이승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공장이 마치 폭탄을 맞은 듯 아수라장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외벽은 통째로 뜯겨 바닥에 나뒹굴고 소방대원은 방독면을 둘러쓰고 내부를 살핍니다. <br /> <br />지난 13일 충북 제천에 있는 화학업체에서 폭발 사고가 나면서 연구원과 근로자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불과 나흘 뒤, 충남 서산에 있는 한화토탈 대산공장에서 또 화학 사고가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유증기가 대량 유출되면서 공장 직원과 주민들이 어지럼증이나 구토 증상 등을 호소했고 6백 명 넘게 치료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옥화 / 인근 주민 : 문을 열어 놓고 있었죠. 그랬더니 냄새가 막 들어와서 갑자기 머리도 아프고 속이 메슥메슥해서. 이게 뭔 일이냐고.] <br /> 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이 집계한 최근 5년 치 국내 화학 사고 463건을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도에 표시한 동그라미 하나가 화학 사고 1건인데, 대도시 주변 뿐 아니라 해안 지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밀도가 높은 곳을 붉은 색으로 표시한 온도 지도로 바꿔보면, 확실해집니다. <br /> <br />색깔이 진하게 색칠된 곳을 살펴보면, 공단이 많은 경기도와 경북, 충남, 전남 등의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지역을 자치단체별로 조금 더 자세히 따져봤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 안산시 단원구가 26건으로 가장 많았고, 전남 여수시와 울산 남구, 경기 화성시, 울산 울주군이 상위 5위였습니다. <br /> <br />화학 사고가 가장 많이 터졌던 때는 지난 2014년과 2015년입니다. <br /> <br />2년 동안에 13명이 목숨을 잃었고, 331명이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기간 전체로 보면 사망자가 25명, 부상자는 574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월별로 보면 날이 더워지는 7월과 8월에 사고가 자주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익모 / 인하대학교 화학과 교수 : 날씨 이런 것들이 관계가 있다고 얘기를 하죠. 사람이 좀 부주의해지는 그런 때가 있지 않습니까? 그런 것들이 영향을 약간은 미친다고 얘기할 수 있지만 (절대적인 건 아니죠.)] <br /> <br />물질별로는 '질산' 때문에 발생한 사고가 가장 건수가 많았고 미흡한 시설 관리와 작업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2522270195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