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·19 남북군사합의를 지키기 위해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에서 우리 군이 기초 유해 발굴을 먼저 시작한 지 어느덧 2달이 다 돼 갑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아직 호응해 오지 않는 가운데 지뢰제거와 기초 발굴이 이뤄지는 현장이 언론에 처음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측 철책선보다 북한군 초소가 더 가까운 비무장지대 (DMZ) 안 최전방 감시 초소. <br /> <br />군사 분계선 남쪽 지역에서 지뢰제거와 기초 발굴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흰색 안전 선을 친 구간은 아직 지뢰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, <br /> <br />주황과 노랑 선은 지뢰 제거를 마치고 기초 발굴이 이뤄지고 있는 곳을 표시합니다. <br /> <br />안전사고 위험에 대비해 한여름 날씨에도 육중한 보호 장구 착용은 필수고, <br /> <br />전사자 유해와 DNA가 섞일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 중엔 늘 마스크와 장갑을 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거의 모든 발굴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고된 현장이지만, <br /> <br />분단 이후 60년 넘도록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호국 영령들을 생각하면 한시도 손을 놓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민 병장 /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: 저희가 지금 누리고 있는 것들이 다 호국영령들의 희생에 의해 왔다고 생각하고 보답하고 있다는 마음으로…] <br /> <br />6.25 전쟁 기간 4차례의 치열한 탈환전이 벌어졌던 화살머리고지엔 국군과 유엔군 등 아군 전사자 유해만 300구 넘게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1일부터 지금까지 약 60일 동안 국군 전사자 추정 완전유해를 비롯한 뼛조각 325점과 미군 방탄복, 중국군 방독면 등 유품 2만3천여 점이 쏟아져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강재민 상사 /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: DMZ 안에서 출입이 제한되다 보니까 개발도 안돼 있고 사람의 흔적이 없습니다. 따라서 6·25 당시 그 모습 그대로 유품과 유해들이 보존된 상태를 보고 깜짝 놀랐고…] <br /> <br />9·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지난달 1일부터 공동 유해 발굴을 진행하기로 했지만, 2달 가까이 우리 군의 반쪽 작업만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동 발굴 시한인 10월까지 무심한 시간만 흐르는 가운데, 북한은 여전히 한미연합 훈련 중단 등 근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p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52913054063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