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적으로 '따뜻한 얼음'은 상상하기 어렵지만, 액체가 고체로 되는 응고현상은 온도뿐만 아니라 압력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초고압 환경을 구현해 상온에서도 얼음을 만들고 형상을 제어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자연에서 관찰되는 얼음은 육각 판, 기둥, 뿔 등 결정 모양이 만 가지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얼음 결정을 온도가 아닌 압력으로 제어하면 결정 모양을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초고압 극한 환경을 구현해 상온에서도 얼음을 만들고, 형상을 제어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윤희 /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극한연구팀 : 고압으로 이젠 물을 짓누르게 되면 결국에는 진동 자체를 줄일 수 있고요. 그렇게 되면 똑같이 고압 상태에서도 온도를 낮춘 것처럼 고압 얼음이 만들어지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대기압의 1만 배인 기가파스칼(GPa)의 초고압을 실현해 압력 얼음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물질의 압력, 부피, 분자구조 정보까지 동시 측정할 수 있는 자체 개발한 초고압 환경장치가 동원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기술은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얼음의 크기나 형태, 성장 속도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응용 분야는 아주 넓습니다. <br /> <br />한 가지 예로, 상온에서 육류를 냉동시키면 바늘처럼 뾰족한 육각형 얼음 결정이 생기는데 세포를 손상하고 육질과 맛을 떨어뜨립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압에서는 얼음 결정을 둥근 형태로 만들어져 육류의 맛과 신선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근우 /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융합물성측정센터 : 이 기술은 압축률을 조절해서 신 물성을 개발할 수 있는 겁니다. 그래서 반도체라든지 에너지 소재, 바이오 식품 분야의 활용이 가능합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연구성과는 세계 3대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'PNAS'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53102253427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