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크루즈 선장, 추돌 사실 몰랐나…유람선 침몰 ‘의문점’

2019-05-31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침몰사고에는 풀리지 않은 의문점들이 많습니다. <br> <br>국제부 황하람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1. 가장 궁금한 점, 큰 배의 선장은 45분 동안 더 항해했다는 말인데, 몰랐던 겁니까? <br><br>크루즈 선장이 유람선을 들이받은 사실을 정말 몰랐던 건지 알고도 모른 척을 한 건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말씀하셨듯이 의문점이 많습니다. <br> <br>사고 당시의 바이킹 시긴호의 항적도를 준비했습니다. <br><br>머르기트 다리 기둥에서 크루즈가 유람선을 들이받은 이후, 속도가 시속 12km 정도인 6.7 노트에서 2.7노트로 절반 이상 뚝 떨어집니다. <br> <br>그리고 시속 0.1km 정도인 0.1 노트로 거의 멈춘 상태에서, 20분 가량 갑니다. <br> <br>다리 앞이라서 속도를 줄인 건지 충돌의 충격 때문에 그런 건지는 수사가 필요해보입니다. <br><br>2. 어떤 이유에서 속도를 줄인건지 규명이 꼭 돼야할 것 같은데, 그럼 이후에 배는 멈췄습니까? <br><br>당시 사고영상을 한 번 보실까요, <br> <br>크루즈가 유람선 뒷부분을 들이받고 그대로 계속 갑니다. <br> <br>항적도를 다시 살펴보면요, <br><br>사고 이후에도 무려 40분 이상 계속 가다가 북쪽 부두에 멈춘 것으로 확인됩니다. <br> <br>아무리 배의 규모가 차이가 난다지만 침몰한 유람선도 길이가 27m입니다. <br> <br>육안으로도 충분히 발견할 수 있는 크기죠. 선장의 과실을 의심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. <br><br>사건 접수가 침몰 직후가 아니라 10분 뒤에서야 이뤄졌는지, <br> <br>다른 선박이 제일 먼저 구조에 나섰다는 점도, 규명되어야 할 부분입니다. <br> <br>3. 선장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여러 의문점들이 풀릴 것 같은데요. <br> <br>사고 당시 당연히 있어야 할 것들도 없었다고요? <br><br>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는데요. <br><br>우선 크루즈선이 머르기트 다리 기둥 앞에서 오른쪽으로 급선회할 때, 라디오 통신이나 경보음으로 주변 선박에 알리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><br>도로에서 차선을 급변경할 때처럼 주변 선박에 알려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또 AIS라는 장치가 설치돼 있어서 모니터만 제대로 보고 있으면 주변 배의 속도와 방향, 이름까지 알 수 있는데요. <br> <br>선장이 제대로 보고 있었는지도 조사가 필요합니다. <br> <br>마지막으로 레이더 외에도 수상 교통상황을 확인해 안전거리, 즉 4m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데, 이를 무시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<br>황하람 기자 잘들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