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노인 인구는 급증하고 반대로 경제 활동의 주축이 되는 생산 인구는 급격하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데요. <br /> <br />고용과 경제성장에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부는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을 이끈 베이비붐 세대! <br /> <br />1955년부터 63년생인 베이비붐 세대가 내년부터 노인층에 본격적으로 편입됩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10년 동안에만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연평균 48만 명씩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당장 내년에만 노인 인구가 44만 명이나 증가합니다. <br /> <br />매년 40만 명 선을 이어가다 오는 2024년에는 노인 인구 증가 폭이 50만 명에 도달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노인 인구는 769만 명! <br /> <br />매년 40만 명 이상의 증가 폭을 이어가면서 오는 2025년에는 천만 명을 돌파합니다. <br /> <br />노인 인구 천만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체 인구 5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'초고령사회'로 진입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[김 진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2019년부터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보다 많아지는 자연감소가 시작될 전망입니다. 향후 50년간 생산연령인구와 유소년 인구의 비중은 감소하고, 고령 인구의 비중은 급증할 전망입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노인 인구가 급증하게 되면, 오는 2022년까지 기초연금을 포함한 노인 재정은 연평균 14% 이상 늘어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노인 인구 증가와 반대로 경제 활동의 주축이 되는 생산 인구는 급감하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만15~64살에 해당하는 생산연령인구는 줄어들기 시작해 오는 2029년까지 연평균 33만 명 가까이 감소합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정부는 고령 근로자를 늘리는 방안을 이번 달 말까지 마련하고,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6022228495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