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65세로 늘리는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노동계와 경영계 그리고 세대 간 입장이 다릅니다. <br> <br>이지운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년 연장을 둘러싼 세대간 의견 차이는 뚜렷합니다. <br> <br>[권동현 / 20대] <br>"취직 문이 좁아질 수 있으니까. 젊은 사람 두 명 뽑을 돈으로 한 명의 나이드신 분 고용을 유지해야 하니까 (걱정돼요.)" <br> <br>[강종희 / 60대] <br>"65세나 60세나, 70세나 옛날에 비해 건강합니다. 사회나 국가에 도움이 될 겁니다." <br> <br>정년 연장 논의에 불을 지핀 건 홍남기 경제부총리. <br><br>어제 한 방송사 대담에서 "정년을 연장하는 건 매우 중요한 사안"이라며 "사회적으로 논의할 시점"이라고 언급했습니다. <br><br>실제로 정부는 지난 4월 인구정책 태스크포스를 꾸려 정년 연장을 집중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논의가 탄력을 받는 건 출산율 저하로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> <br>지난 2월 대법원이 육체노동이 가능한 나이를 60세에서 65세로 높인 것도 힘을 실었습니다. <br> <br>노동계는 정부의 움직임을 반기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주영 / 한국노총 위원장] <br>"정년 연장은 인구 절벽과 맞물려 있어 시급히 가야 될 과제입니다. 우리와 비슷한 수준의 나라들이 65세로 간지 오래됐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경영계에선 고임금의 고령 노동자가 늘면 생산성은 낮아지고 비용부담은 커질 거라고 우려합니다. <br> <br>세대간, 노사간의 입장 차이를 좁히기 위한 폭넓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지운입니다. <br>easy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이승훈 김영수 조세권 <br>영상편집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