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제철소의 핵심은 흔히 용광로라고 부르는 고로입니다. <br> <br>며칠만 멈춰도 다시 가동하는데 몇 달이 걸립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근 이 고로를 열흘간 멈추라는 지자체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김남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철광석을 녹여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고로. 제철소의 핵심 설비입니다. <br> <br>[김남준 기자] <br>"하지만 충남도는 최근 이 고로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 됐다며 조업정지 처분을 내렸는데요, 처분대로라면 이 고로는 10일간 멈춰서야 합니다." <br> <br>오염물질은 한 달에 한 번 있는 정비 과정에서 나왔습니다. <br><br>평상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정화장치가 갖춰진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문제없이 빠져나갑니다. <br> <br>하지만 고로를 정비할 때는 이 배출구를 막습니다. <br> <br>이 때 브리더라 불리는 안전밸브를 개방하지 않으면 고로가 폭발할 위험성이 커집니다. <br> <br>그런데 기술적으로 브리더에 정화장비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. <br> <br>결국 정비중에는 유해가스가 그대로 공기중에 방출되는 겁니다. <br> <br>환경단체가 이에 대해 민원을 제기했고 결국 조업 정지 처분이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고로를 멈추면 쇳물이 식어 복구에 최장 6개월이 걸린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승희 / 현대제철 홍보팀장] <br>"3개월 동안 120만 톤 감산 될 것으로 보고 있고요. 추정된 매출 손실은 9천 억 원이 넘어서는 것으로… " <br><br>다른 제철소 역시 같은 이유로 조업정지를 앞두고 있는데, 당장 대안이 없습니다. <br><br>환경부는 “정화시설을 갖춘 다른 배출구를 만들 수 있다는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”며 처분이 정당하다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현대제철은 이번 처분에 대해 행정심판을 제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이태희 <br>그래픽 : 박진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