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최명신 앵커, 최아영 앵커 <br />■ 출연 : 강태욱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전해 드린 것처럼 어제 헝가리 현지에서는 한국인 사망자 3명이 추가로 발견됐습니다. 침몰한 허블레아니호 인양작업은 우리 시각으로 오늘 중에는 힘들 것으로 보이는데요. 이와 관련해 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국제부 강태욱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 <br />당초 원래 계획대로라면 우리 시각 오늘 오후부터죠. 인양작업이 시작이 됐어야 하는데 크레인선이 오다가 멈췄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침몰한 유람선을 인양하러 투입된 크레인선, 대형 크레인이죠. 클라크 아담이 사고 현장까지 가던 중간에 일단 운항을 멈췄습니다. 아르파드 다리와 머르기트 다리 2개를 남겨둔 상황인데요. 거리로 보면 침몰 지점에서 한 5km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. 애초 계획은 한국 시간으로 오늘 오후부터 인양작업을 할 계획이었지만 변수가 생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수색을 하고 인양을 하는 데 계속 강물 수위가 걸림돌이 됐잖아요. 이번에도 또 강물 수위 때문에 문제가 된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이유가 다뉴브강 수위 때문인데요. 크레인선을 몰고 온 게네이 귤라 선정 얘기를 들어보면 다뉴브강 강 수위가 4m 정도를 오르내리고 있는데 그래서 중간에 멈췄다, 이렇게 말했습니다. 아르파드 다리를 통과하는 것과 침몰 현장인 머르기트 다리를 지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해서 멈췄다, 이렇게 말을 하고 있거든요. 머르기트 다리의 교각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서 수위가 높으면 충돌할 수 있다는 건데요. 크레인선이 통과하려면 적어도 수위가 4. 2m 정도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제가 스튜디오 오기 전에 사이트를 살펴봤는데 현재 다뉴브강 수위가 4. 55m 정도거든요. 앞으로도 한 예를 들어 20~30cm 정도는 더 떨어져야 다리를 통과할 수 있지 않을까. 그래서 아마 수위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시신 수습 상황도 한번 정리해 볼까요. 어제 시신 3구가 추가로 발견됐어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맞습니다. 침몰 사고 현장에서 2구 그리고 강 하류에서 1구 이렇게 해서 하루 만에 모두 3구가 추가로 발견됐습니다. 신원 확인 결과 3구 모두 실종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60607133061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