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최명신 앵커, 최아영 앵커 <br />■ 출연 : 강태욱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제 헝가리 현지에서는 유람선 침몰사고 한국인 사망자 3명이 추가로 발견됐습니다. 침몰한 허블레아니호 인양 작업은 우리 시각으로 오늘 중에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. 취재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강태욱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 원래 계획대로라면 우리 시각으로 오늘 오후부터죠. 인양작업이 시작돼야 되는데 크레인선이 오다가 멈췄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침몰한 유람선을 인양하러 온 크레인선, 대형 크레인이죠, 클라크 아담이 사고 현장까지 가던 중에 운항을 중단했습니다. 아르파드 다리와 머르기트 다리 두 개를 남겨둔 곳에서 멈췄습니다. 거리로 보면 침몰 지점에서 5km가량 떨어진 곳입니다. 애초 계획은 한국 시간으로 오늘 오후부터 인양 작업을 할 계획이었는데 변수가 생긴 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저희가 보도해 드렸듯 이 크레인선이 지나가려면 강물 수위가 2.4m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는 건데 지금 현재 크레인선이 오지 못한다는 건 강물 수위가 이보다는 높다는 말인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 막 제가 파악한 것으로는 현재 다뉴브강 사위는 4.55m 정도입니다. 그러니까 4. 2m가 확보돼야 하니까 한 30~40cm 정도 더 내려가야 한다고 볼 수 있죠. 크레인선 다뉴브강 수위가 4m 정도 오르내리고 있어서 중간에 멈췄다, 이렇게 선장이 밝혔거든요. <br /> <br />아르파드 다리를 통과하는 것과 침몰현장 부근인 머르기트 다리를 지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해서 일단 멈췄다고 선장이 얘기했습니다. 머르기트 다리의 교각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서 수위가 높으면 충돌할 수 있다는 건데요. 크레인선이 통과하려면 말씀하신 것처럼 적어도 수위가 4. 2m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크레인선은 수위 상태를 보고 침몰 현장으로 다시 움직일 예정이어서 수위가 낮아지지 않으면 인양 일정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결국 강 수위가 관건인데 상황을 계속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지금 예상으로는 일부에서는 한 2~3일 정도 더 기다려야 되지 않을까, 이런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리고 시신 수습 상황을 좀 정리해 볼까요. 어제 시신 3구가 추가로 발견됐어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맞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60608062203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