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흰개미 습격에 한옥 비상…서울 밀집 지역 피해 확산

2019-06-06 5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'흰개미의 습격'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? <br> <br>죽은 나무를 갉아먹고 사는 흰개미 때문에 오래된 목조 문화재가 위협을 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서울 북촌에서도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남 창원에 있는 한옥 건물. <br> <br>기둥을 발로 찼더니 나무 조각이 쉽게 떨어져 나옵니다. <br> <br>[석종근 / 건물 관리인] <br>"이게 흰개미가 다 파먹은 거에요." <br><br>외벽에 난 구멍에 초소형 내시경 카메라를 넣었더니 흰개미가 포착됐습니다. <br><br>한옥을 지탱하는 목재의 하단 부분에 흰개미들이 바글바글합니다. <br> <br>목재를 파먹고 사는 흰개미들이 한옥으로 몰린 겁니다. <br><br>피해를 본 건물 외벽은 하중을 견디다 못해 기울어졌습니다. <br> <br>[박현철 / 부산대 생명환경화학과 교수] <br>"경주나 울산, 포항처럼 지진이 이 근처에서 발생하면 이 정도의 피해를 본 집은 붕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" <br> <br>실제로 일본에선 고베 지진 당시 완파된 목조 건물 가운데 70%가 흰개미 피해를 본 주택이었습니다. <br> <br>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흰개미는 20년 전만 해도 주로 남부 지역에 서식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서식지가 북상한 데다 짝짓기 시기도 5월 중순에서 4월 중순으로 한달 정도 빨라졌습니다. <br><br>지난해 문화재청이 전국 125개 목조문화재를 조사한 결과 흰개미 피해를 본 문화재가 80%에 가까운 걸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특히 한옥은 흰개미에게 최적의 서식지입니다. <br> <br>한옥이 밀집된 서울 북촌에서도 흰개미 피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원천 / 한옥 전문가] <br>"최근에는 화장실도 한옥 내부로 들어오고 부엌도 들어오고 욕실도 들어오면서 목재에 습기가 공급되니까" <br> <br>최근 한옥을 비롯해 친환경 목조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흰개미 방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남수(스마트리포터)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최동훈 <br>그래픽: 전성철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