섬진강에서는 요즈음 재첩잡이가 한창입니다, <br /> <br />섬진강 재첩은 전통 어업 방식을 수백 년 동안 이어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동군은 전통 어업 방식과 재첩 서식지 보존을 위해 세계중요어업유산 등재를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다와 강이 만나는 섬진강 하류. <br /> <br />강 중심부를 따라 재첩 잡는 어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슴 깊이 물속에도 아랑곳없이 재첩 잡기에 열심입니다. <br /> <br />'거랭이'라는 전통 어구로 바닥을 쓸고 끌어 올리니 싱싱한 재첩이 한가득. <br /> <br />겨우내 강바닥 아래에서 지내다가 기온이 오르자 강바닥으로 나온 겁니다. <br /> <br />수십 년 경력의 어민은 맨발을 레이더 삼아 재첩을 찾습니다. <br /> <br />[최윤석 / 어민 : 발바닥에서 바깥 센서 역할. 센서와 같이 감각이 있어요. 발바닥에 밟히는 게 돌 인가 조개 인가 감각이 나와요. 그래서 조개 많은 곳을 더 많이 잡으려고….] <br /> <br />섬진강은 강물과 바닷물이 잘 순환하고 오염되지 않아 재첩 서식지로 제격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섬진강 재첩은 진한 국물이 일품인데, 특히 6월에서 8월에는 영양이 풍부해지고 맛도 더욱 좋습니다. <br /> <br />[이강열 / 어민 : 재첩에다가 물만 붓고 그다음에 정제된 천일염으로 간만 맞추면 맛이 아주 달짝지근. 맛있을 때는 달짝지근한 그런 맛도 나고….] <br /> <br />하동군은 수백 년 동안 이어온 전통 조업방식과 섬진강의 자연환경 보존을 위해 세계중요어업유산 등재를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상기 / 하동군수 : 1급수만 흐르는 섬진강에서 나는 재첩을 세계가 자원보호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을 하고 갔기 때문에 제가 볼 때 등재를 확실시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세계중요어업유산 등재 여부는 내년에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종혁[john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60702230030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