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지 32년 만에 처음으로 시범 개방돼 낙동강으로 바닷물이 올라왔습니다. <br /> <br />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수역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목적인데요. <br /> <br />농민들은 소금물 피해를 우려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손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낙동강 하굿둑 수문 10개 가운데 1개가 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닷물 수위가 하굿둑 안쪽 수위보다 높아지는 밀물 때라 바닷물이 낙동강으로 올라옵니다. <br /> <br />수문을 개방해 바닷물을 강 쪽으로 올린 건 1987년 하굿둑 건설 이후 32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시범 개방 40분 동안 50만 톤의 바닷물을 낙동강으로 흘렸습니다. <br /> <br />바닷물과 강물이 섞이는 곳의 생태계 복원 가능성과 농가피해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수문 개방은 환경단체의 요구로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천영희 /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: 하굿둑 건설 이후 인근의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재첩이나 장어, 연어가 사라진 것만 봐도 이 생태 통로가 얼마나 중요한지 짐작할 수 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농민들은 수문 개방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사를 짓기 위해 막아 놓은 하굿둑을 개방한다는 것은 농사를 짓지 말라는 것이라며 대안 없는 개방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반재화 / 서낙동강수계살리기연합회장 : 낙동강 본류가 농지보다 60cm 높기 때문에 바닷물이 올라와서 노양뿐 아니라 지하수를 오염시켜 농업을 할 수 없습니다.] <br /> <br />하굿둑 인근 농민은 만5천 명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 등은 내년까지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바닷물 유입에 따른 수질과 생태계 변화, 농지 염분 오염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손재호[jhs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60705301217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