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항일 투쟁→김일성 훈장…문 대통령의 ‘김원봉 사랑’

2019-06-07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가장 논란이 되는 대목은 앞서도 잠깐 언급했던 김원봉의 광복 이후 북한에서의 행적입니다. <br> <br>어떤 일을 했는지, 이런 인물을 왜 문재인 대통령은 관심을 갖고 있는지 조아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남 밀양 출신 약산 김원봉은 항일 무장 투쟁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. <br> <br>[김원봉 / 조선의용대 대장(1940년)] <br>"적의 무기를 뺏어 무장해서 만주로 들어가 우리는 조선혁명군과 연합해서 우리의 조국으로 진입하려하는 것입니다." <br> <br>1942년 광복군 편입 이후에는 부사령관을 맡았는데 좌우 합작의 대표 사례로 거론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해방 이후 혼란기인 1948년 북한으로 건너가 김일성과 함께합니다. <br> <br>[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 (1948년)] <br>"조선인민공화당 김원봉 씨는 양국 군대 동시 철퇴를 고려하였습니다." <br> <br>이후 북한 초대 내각에서 국가검열상을 맡아 6.25 전쟁을 치렀습니다. <br> <br>노동상, 당 부위원장까지 지냈는데 6.25 전쟁 때 공로로 김일성에게 훈장까지 받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1958년 김일성의 빨치산파와 대립하다 결국 숙청당했습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2015년 야당 대표 시절부터 김원봉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보였습니다. <br><br>당시 개봉한 영화 '암살' 관람 뒤, "남에서도, 북에서도 설 곳이 없었다"며 김원봉을 평가했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 "김원봉 선생에게 최고급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드리고 술 한 잔 바치고 싶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남에서도 북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김원봉에 대해 안타까워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정부의 김원봉 서훈 가능성에 대해 청와대는 보훈처가 추진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서훈을 위해서는 '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자'는 제외한다는 보훈 규정과 상훈법을 고쳐야 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편집: 김태균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