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가 전기요금 누진제를 개편하겠다며 세가지 안을 내놓았죠. <br> <br>이에 대한 국민 의견을 모으고 있는데, 누진제를 아예 없애란 의견이 압도적이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그럴 경우, 전기를 적게 쓰는 1400만 가구의 요금이 오를 수 있어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 3가지를 놓고 국민 의견을 받고 있는 한전 홈페이지입니다. <br> <br> 6일 만에 올라온 의견은 470여 건. <br> <br> 30여 건을 제외하면 압도적으로 연중 누진제를 완전 폐지하는 3안을 지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 한 달에 350kWh 사용하는 가구라면 2구간에 속했던 누진제가 폐지될 경우 현재보다 요금 3천330원 적게 부담합니다. <br><br> 이처럼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887만 가구는 요금이 줄어들지만 나머지 가구의 부담은 커집니다. <br> <br> 누진제 폐지안이 큰 지지를 받자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종배 / 건국대 전기공학부 교수 (지난 3일)] <br>"(3안은) 누진제 논란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만 전기를 적게 사용하는 1400만 가구들은 요금 인상에 대한 압박이… " <br><br> 3단계 누진제를 유지하되 지난해처럼 7, 8월에만 적용 구간을 늘리는 1안과 3단계를 2단계로 축소하는 2안은 사실상 손해보는 가구가 없기 때문입니다.<br><br> 전문가들과 적자 압박을 받고 있는 한전은 땜질 처방보다 실제 전기를 많이 쓰는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[권기보 / 한국전력 본부장 (지난 3일)] <br>"(저소득층 요금할인) 5500억 정도 됩니다. 정부의 복지재정이나 에너지바우처, 기금이 더 시장경제 논리에 맞는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 개편안은 모레 열리는 공청회 등을 거쳐 이달 말 최종 확정되는데, 누구도 손해 보지 않는 1안이나 2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현영 <br>그래픽 : 김민수 윤지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