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고래 싸움에 등 터지는 새우 신세가 됐습니다. <br> <br>그것도 미국과 중국이라는 거대한 고래들입니다. <br> <br>무역전쟁에 우리 기업들이 위협을 받는데 정부는 대책이 없습니다. <br> <br>김남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지난 1994년 중국에 처음 들어선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입니다. <br> <br> 지난해 삼성전자 매출 가운데 18%는 중국에서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 SK하이닉스의 중국 매출 비중은 더 커 40%에 근접합니다. <br> <br> 특히, 미국의 제재 대상인 화웨이가 사들인 두 회사의 반도체 제품은 각각 5조원 정도. <br> <br> 하지만 중국 정부는 미국의 반 화웨이 전선에 동참하지 말라고 압박해 삼성과 SK는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 지난주 중국 경제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두 기업 등 글로벌 업체들을 불러 “미국에 협조하면 ‘심각한 결과’ 직면하게 될 것”이라고 경고한 겁니다.<br> <br> 두 경제 대국 사이에서 속앓이를 하고 있지만 청와대와 정부는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 이낙연 총리가 전담조직을 언급하기도 했지만, <br> <br>[이낙연 / 국무총리 (지난달 30일)] <br>"외교부에 미중 관계를 본격적으로 담당하는 전담조직을… " <br> <br> 외교부 내에서 미중분쟁에 대한 입장도 정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윤종원 대통령 경제수석도 “기업이 자율적으로 정해야 될 부분”이라며 정부 개입에 선을 그었습니다.= <br> <br>[김상봉 /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민간 기업들이 (미중분쟁에 동참할지 중국에) 의견을 못 내게 (정부가) 이야기를 해줘야 해요." <br> <br> 정부가 명확한 원칙 없이 기업에 떠넘긴다면 사드 사태가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