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김원봉 논란에도…국방부, 창군 역사에 ‘공적’ 명시 검토

2019-06-10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국내 정치권 소식입니다. <br> <br>국방부가 우리 창군 역사에 약산 김원봉의 공적도 명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정치적 논란을 우려해 그동안 결정을 미뤘었는데요. <br> <br>최근 문 대통령의 김원봉 발언 이후 "역사적 사실은 기록할 필요가 있다"며 한 발 더 나갔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방부가 약산 김원봉의 업적을 우리 군의 역사에 명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] <br>"김원봉의 활동에 관해서 역사적인 사실 부분에 근거한 부분이라면 기록의 필요성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" <br> <br>군사편찬연구소의 제안으로 국방부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'국방부 연혁'을 수정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군사편찬연구소의 홈페이지 개선안에 따르면 우선 국방 연혁의 범위를 창군 이전까지 넓혀 항일투쟁사까지 포함됩니다. <br> <br>이에 따라 김원봉이 조선의용대를 결성했고, 임시정부 합류 이후 광복군 제1지대장으로 임명됐다는 내용 등이 포함됩니다.<br> <br>국방부는 그동안 정치적 논란을 의식해 홈페이지 수정 검토를 미뤄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김원봉 재평가에 입장이 달라진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정치권은 김원봉 서훈을 둘러싼 공방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6.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을 만나 김원봉을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황교안 / 자유한국당 대표] <br>"김원봉이라고 하는 잘못된 사람이 군의 뿌리가 된 것처럼 얘기하는 이런 것들 안타깝게 생각하고 저희가 잘 막아내도록 하겠습니다." <br><br>청와대는 "현재 포상 기준에 따르면 김원봉 서훈은 불가능하다"며 선 긋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서훈을 위해서는 '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자'는 제외한다는 보훈 규정과 상훈법을 고쳐야 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박형기 <br>그래픽: 김종운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