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는 현재 유럽연합과 교역할 때, 한·EU FTA 적용을 받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는 10월 말쯤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할 경우 교역 여건이 달라져 주력 품목에 대한 관세 폭탄이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예상되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양국이 자유무역협정을 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은 유럽연합, EU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와 두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영국 역시 EU 소속이라 한·EU FTA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오는 10월 말쯤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게 된다면 상황이 급변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영국이 EU와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채 유럽연합을 탈퇴할 경우, 이른바 '노딜 브렉시트'가 발생하면 우리 주력 품목에 대한 관세 폭탄이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통상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국은 자유무역협정에 원칙적으로 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자동차는 10%, 자동차 부품은 3.8~4.5%의 관세를 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FTA를 타결하면서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의 경우 현재와 마찬가지로 무관세로 영국에 수출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한·EU FTA가 정한 상호 '공산품 관세 철폐' 원칙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로서는 수출 여건이 나빠지고 있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본 셈입니다. <br /> <br />[유명희 / 통상교섭본부장 : 정부는 브렉시트로 인해 발생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해 철저히 대비해 우리 업계가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으로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영국 역시 기존 한·EU FTA 수준을 유지하면서 교역 확대 가능성을 열어 둘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리엄 폭스 / 영국 국제통상장관 : 이번 협정은 한국과 영국의 무역과 경제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첫 걸음입니다만, 이제 첫걸음일 뿐입니다.] <br /> <br />한·영 양국은 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, 수소 경제 등 미래 성장동력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61102274411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