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0년 된 5만 원권, 환수율 절반 불과…지하경제 유입 가능성

2019-06-19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신사임당을 그려넣은 5만원권 지폐가 등장한 지 꼭 10년이 됐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발행량에 비해 시중에 유통되는 5만원권이 턱없이 적습니다.<br><br>지하경제 우려가 여전합니다. <br><br>이현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 싱크대 수납장에서 5만원권 현금다발이 나옵니다. <br><br> 소파 한귀퉁이 인형 밑에서 꺼낸 돈다발도 5만원권. <br><br> 모두 세금 추징을 피하기 위해 숨겨둔 현금입니다.<br><br> 2009년 6월 처음 선보인 5만원권으로 지난달까지 모두 196조 7000억원 발행됐습니다.<br><br> 하지만, 한국은행으로 돌아온 지폐 액수는 98조3800억원으로, 절반이 넘는 100조원 정도가 시중에 있습니다.<br><br> 우리나라 가구가 거래에 대비해 보유한 1만 원과 5만 원권의 비중은 비슷한 반면, 예비용 현금은 5만원권이 80% 정도를 차지합니다.<br><br> 마트나 식당 등에서 5만원권을 자주 보기가 힘든 이유입니다. <br><br>[황영주 / 서울 종로구]<br>"비상금으로 갈피갈피 책갈피에 넣어놓는 경우가 많고 슈퍼나 이런데서 잘 안 써요."<br><br>[장성영 / 서울 송파구] <br>"실생활에선 거의 신용카드로 쓰고요. 5만 원권을 찾아가지고는 제일 많이 쓰는데가 경조사비인 것 같아요." <br><br> 전문가들은 추적 가능한 수표 대신 5만 원권이 지하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합니다. <br><br> 발행 10년 만에 주력 화폐로 자리매김한 5만원권 지폐.<br><br> 다른 지폐보다 턱없이 낮은 환수율은 숙제로 남았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이현수입니다. <br><br>soon@donga.com<br>영상취재 : 추진엽<br>영상편집 : 김민정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