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금부턴 뻥 뚤린 해안경계와 부실했던 군 브리핑 소식입니다. <br> <br>합참은 북한 목선의 귀순 과정을 뺄 건 빼고 설명했다가 이틀 뒤에 바로잡았지요. <br> <br>그런데 문제가 된 1차 브리핑에 앞서 청와대와 조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청와대 책임론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방부가 허위 브리핑 내용을 사전에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밝히면서 청와대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 (어제)] <br>"(청와대 등에) 대강 틀로 '이렇게, 이렇게 하겠다'고 말씀을 드리고… " <br><br>어제에 이어 오늘도 군은 "중요한 브리핑은 유관 부처와 협의한다"면서 "청와대와 큰 틀에서 같이 공유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청와대에 브리핑 내용을 사전에 보고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윤도한 대통령 국민소통수석도 이 같은 사실을 인정했습니다. <br><br>윤 수석은 기자들에게 "브리핑 뿐 아니라 안보와 관련한 부분은 당연히 청와대에 보고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해경이 최초 보고에서 북한 목선 발견 장소를 삼척항 방파제로 명시했는데도 군이 '삼척항 인근'으로 바꾼 것을 청와대도 사전에 알았다는 얘기가 됩니다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이 제대로 보고하지 않은 것에 대한 철저한 점검을 지시한 만큼 청와대 관련자에 대한 문책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