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의 작은 목선 1척이 동해를 발칵 뒤집은 지금 서해는 어떨까요? <br> <br>정부가 평화수역을 만들겠다며 45년 만에 등대 불을 켠 서해 연평도와 인근 바다를 안건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짙은 어둠을 헤치고 어선들이 분주히 항구를 나섭니다. <br><br>[박태원 / 연평도 주민] <br>"지금 남북관계가 완화되면서 일단 야간조업을 허락했다는 점이 중요한 것이고 어장이 그만큼 면적이 늘어났고… " <br> <br>달라진 건 또 있습니다. 45년 만에 다시 불을 밝힌 등대입니다. <br><br>등대가 북한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바다에서 직접 살펴봤습니다.<br><br>연평도 등대가 제 쪽 연평어장 이남 쪽을 향해서는 빛을 비추고 있는데 북쪽을 향해서는 빛이 뻗어 나가지 않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최근 북한 목선이 군의 경계를 뚫고 동해 삼척항까지 왔다는 소식에 연평도 주민들도 불안감을 감추지 못합니다. <br> <br>[황의심 / 연평도 주민] <br>"요즘 또 (경계) 설렁설렁하니 마음이 안 편해. 대통령 만나고 할 때는 마음이 좀 안정이 됐는데 요즘 또 그냥 시끄럽고… " <br> <br>[황계준 / 연평도 주민] <br>"여기는 진짜 사람 타고 오고 넘어오는 것 시간문제예요. 또 어느 순간에 포 때려서 넘어오는 것은 무방비 상태로 당하는 것이거든." <br> <br>북한과 불과 10km 거리지만 잦은 안개로 감시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날도 짙은 안개로 북한 해안포가 있는 옹진반도는 보이지 않고 바다 중간 바위섬 석도부터 식별이 가능했습니다. <br> <br>북한 목선 사건 이후 해병대도 경계 태세를 강화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총원 투입!) 투입! 내가 근무하는 시간과 장소로 적은 반드시 올 것이다. 앗!" <br> <br>첨단 CCTV도 추가로 확충하고 해안 상륙을 저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'용치' 보수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