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민노총은 최순실 사태와 2017년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그야말로 현 여권의 핵심 지지층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 민노총이 정부 정책에 협조하지 않고 법까지 어기자 정부 여당도 이젠 선을 긋는 모습입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2016년 말 국정농단 사태를 규탄하는 대규모 촛불시위에 참여했던 민노총. <br> <br>문재인 정부 출범에 힘을 보탰다는 평가가 있지만 최근엔 정부 여당에서도 민노총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문희상 국회의장과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의 선처를 요구하는 탄원서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기물 파손 영상 국회 관계자는 "국회 기물을 파손한 혐의로 국회가 민노총을 고발한 상황에서 의장이 탄원서를 쓰기는 어렵지 않겠나"라고 했고 민주당도 민노총이 법을 어긴 부분은 옹호하기 어렵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최저임금 인상과 탄력근로제 확대 등 주요 노동 정책을 둘러싼 입장 차이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명환 / 민노총 위원장 (어제)] <br>"최저임금 1만원을 포함한 우리 민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투쟁을 만들어주십시오." <br> <br>[김해영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지난 19일)] <br>"이번 최저임금은 최대한 동결에 가깝게 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." <br><br>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월 김 위원장을 만나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민노총은 거부했습니다.<br> <br>불법 논란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민노총 해산 청원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김 위원장의 구속에 대한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정부 여당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kj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