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지지층의 반발로 곤혹스러운 청와대가 안보 문제에서도 곤경에 빠졌습니다. <br> <br>북한 목선 귀순 사건에 대해 청와대는 "은폐는 없었다"면서도 사실 전달 과정에서 일부 소홀함이 있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 국가안보실이 국방부로부터 허위 논란 브리핑을 사전에 보고 받았다고 밝힌지 하루 만입니다. <br> <br>손영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북한 목선이 강원 삼척항에 정박한 사실을 그대로 밝히지 않아 허위 논란을 부른 지난 17일 합참의 브리핑 내용입니다. <br> <br>[김준락/ 합참 공보실장 (지난 17일)]<br>"북한 소형 선박 1척이 삼척항 인근에서 발견된 경위를 조사했습니다. 조사 결과 전반적인 해상·해안 경계 작전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." <br><br>하지만 국방부가 이 내용을 청와대에 사전 보고했다고 밝혔고 <br> <br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 (그제)] <br>"(청와대 등에) 대강 틀로 '이렇게, 이렇게 하겠다'고 말씀을 드리고… " <br> <br>윤도한 대통령 국민소통수석도 어제 "발표문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"고 시인했습니다. <br> <br>허위 논란 브리핑을 알고도 방치했다는 비판이 이어지자 청와대도 책임이 있음을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. <br><br>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SNS에 "사건 초기부터 상황을 공유하고 협의했던 국가안보실도 소홀함이 있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'철저히 점검하라'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민정수석실에서 안보실을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빠른 시간 내에 진상을 파악해 소상히 공개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진상파악을 둘러싼 논란은 검찰 수사로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한 시민단체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정경두 국방부장관 등을 직무유기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 <br>scud2007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한효준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