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주일 전 북한 목선의 대기귀순 사건 은폐 의혹은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의 대응에 소홀함이 있었다고 인정하고 조사를 진행중인데, 안보 컨트롤 타워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첫 언론 발표에서 군의 경계작전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한 합참. <br> <br>[김준락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(지난 17일)] <br>"조사결과, 전반적인 해상·해안 경계작전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." <br> <br>청와대는 '작전 실패는 없다'고 단언한 합참 발표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, 상황을 공유한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국가위기관리센터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><br>통상 합참 발표문은 국방개혁비서관, 안보실 1차장으로 이어지는 안보실 라인과 국가위기관리센터를 거쳐 조율되는데 국가위기관리센터는 정의용 안보실장 직속기구입니다. <br><br>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"특히 북한 목선 귀순과 같은 상황에선 국가위기관리센터실 중심으로 보고가 종합된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정 실장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한 이유입니다. <br> <br>한국당은 군 발표에 정 실장의 최종 결정이 있었을 것이라며 정경두 국방장관과 함께 경질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북한 목선 귀순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 방한 전 4차 남북정상회담이 사실상 힘들어지면서 정 실장의 책임론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