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가 이른바 패스트트랙 지정 법안을 다룰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활동 기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완전한 국회 정상화 합의엔 이르지 못했지만, 84일간 멈춰 섰던 국회 시계가 가까스로 다시 돌아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나흘 전 가까스로 도출한 합의안이 무용지물이 된 이후 모처럼 여야 교섭단체 3당 원내대표들이 다시 머리를 맞댔습니다. <br /> <br />큰 틀의 합의가 계속 난관에 부딪히자, <br /> <br />당장 코앞에 닥친 정치개혁특위, 사법개혁특위 활동 기간 연장 문제부터 해결하는 원포인트 합의로 가닥을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파행 84일 만에 가까스로 이뤄진 첫 정상화 시동입니다. <br /> <br />[오신환 /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: 오늘 다시금 신뢰를 회복하고 국회가 완벽한 정상화는 아니지만, 그 과정으로 가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 있는 날이라 생각하고요.] <br /> <br />이로써 모레 활동이 끝나는 정개특위, 사개특위 활동 기한은 오는 8월 31일까지 2달 연장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개특위 구성 비율도 변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위원 18명은 19명으로 늘면서, 기존 8:6:2:2였던 비율이 8:7:2:2로 한국당에 좀 더 유리한 구조로 바뀝니다. <br /> <br />특위 위원장의 교체도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현재 정의당과 민주당이 맡은 정개특위, 사개특위 위원장은 민주당과 한국당이 맡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어느 특위의 위원장 몫을 먼저 고를지는 민주당이 택합니다. <br /> <br />[이인영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두 개의 특위 중의 어떤 특위로 할 것인가 이런 문제들은 이후의 의원총회를 통해서 의원들의 컨센서스(의견 일치)를 충분히 확보해서 그때 최종 결정할 수 있도록….] <br /> <br />이어진 본회의에서 여야는 특위 연장과 함께 여당 몫의 4개 상임위원회 위원장 선출도 마무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한국당 몫인 3개 상임위는 다음 예결특위 위원장 선출 때까지 일단 미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한국당은 전격적으로 아무 조건 없이 각 상임위원회에 복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: 패스트트랙 폭거로 인한 날치기 부분에 있어 한 걸음 나간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임위는 전면적으로 복귀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여야가 84일 만에 힘겹게 국회 정상화의 첫발을 뗐습니다. <br /> <br />패스트트랙 이후 급속히 경색됐던 정국이 정상 궤도를 되찾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최민기[choim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62819322629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