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이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태에 연루된 의원들에게 소환을 통보하면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크게 네 갈래로 이어지는 수사에 현역 국회의원 3분의 1이 휘말려있는 만큼 줄소환이 불가피한데, 의원들이 소환에 응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김다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은 지난달부터 국회 패스트트랙 고소, 고발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역 국회의원 109명을 포함해 121명이 수사 대상에 올랐고 감금, 폭행부터 국회법 위반까지 혐의도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국회 충돌 상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증거를 분석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는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바른미래당 채이배 의원 사무실 점거 사태입니다. <br /> <br />채 의원의 사법개혁특별위원회 회의 참석을 막기 위해 6시간 동안 감금한 혐의입니다. <br /> <br />[채이배 / 바른미래당 의원 (지난 4월) : 감금 상태라 법안 논의도 안 되고 소집도 어려워지는 상황입니다. 필요하다면 창문을 뚫어서라도 나가야 하는 게 아닌가….] <br /> <br />경찰은 비교적 짧은 기간, 한정된 장소에서 일어난 이번 사안의 영상분석을 마무리 짓고 최근 한국당 의원 4명에게 출석 요구서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째는 국회 의안과 점거 농성입니다. <br /> <br />국회 사무처 사무실이 점거돼 기물이 파손된 건 사상 초유의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회의장 앞에서 빚어진 충돌도 수사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물리력을 동원해 회의를 막아선 부분이 쟁점인데 국회선진화법 위반 혐의가 적용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경찰은 국회 CCTV와 보도 영상을 분석해 연루자들의 혐의점을 명확히 가리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100여 명의 국회의원이 줄줄이 소환될 전망인 가운데 여기에 순순히 응할지도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불체포 특권을 가진 현역 의원을 강제로 조사하려면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통과돼야 하는 만큼 절차는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다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62821535836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