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북미 정상의 만남은 1년 전 싱가포르와 올해 2월 베트남 하노이에 이어 사실상의 3차 북미 정상회담이었습니다. <br> <br>단 하루라는 짧은 시간에 준비된 탓인지 의전과 보안 등이 대폭 생략됐습니다. <br> <br>격식을 허문 두 정상의 파격만남을 최주현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문재인 대통령] <br>"정전선언이 있은 후 66년 만에 판문점에서 미국과 북한이 만납니다." <br> <br>하노이회담 결렬 후 넉 달 만에 북미 정상은 판문점에서 손을 맞잡았습니다. <br> <br>이전 만남은 중립지역인 제3국에서 열렸는데 장소를 정하는데만도 상당한 신경전이 벌여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번 판문점 회동은 북미 정상들의 말에 따르면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성사됐습니다. <br> <br>북한도 미국도 이동 수단과 경호 등에 있어 앞서 따져봐야 할 고려 사항이 적어 판문점이 낙점됐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단 하루 만에 준비가 이뤄진 만큼 의전과 이벤트는 대폭 생략됐습니다. <br><br>북미 정상이 손을 마주 잡는 판문점 이벤트는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을 연상하게 했습니다. <br> <br>두 정상이 함께 남북 군사분계선을 넘어갔고, 수 걸음을 걸어가 기념사진을 촬영한 것도 비슷했습니다. <br><br>회담도 동선을 줄이기 위해 군사분계선에서 가장 가까운 남측 '자유의집'에서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회담장에 성조기와 인공기를 나란히 내걸고 아이보리 소파를 배치하는 등 기존 북미 회담과 최대한 비슷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. <br><br>약 1년 전 두 사람이 싱가포르에서 처음 손을 마주 잡았던 제1차 북미 정상회담, <br> <br>지난 2월 하노이에서 진행된 두 번째 정상회담이 연상되는 장면입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김정은 위원장이 24시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통보를 했음에도 만나줘서 기쁩니다. 산을 옮긴 것 같은 위대한 성과입니다." <br> <br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] <br>"오랜 적대적 관계에 있던 우리 두 나라가 이렇게 평화의 악수를 하는 것 자체가 어제와 달라진 오늘을 표현한 것으로…" <br> <br>앞으로 비핵화 실무협상에서 과시적 성과를 거둘 경우 북미 정상은 또다시 판문점에 마주 앉아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체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choigo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