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교 비정규직 파업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 당국은 학교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을 우려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종균 기자! <br /> <br />모레부터 사흘 동안 학교 비정규직 파업이 예고돼 있는데 파업 참여 인원은 얼마나 됩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5만 명 이상이 파업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늘 청와대 앞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연대회의 조합원은 9만5천여 명으로 전체 학교 비정규직의 66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이들 중 절반 이상이 일손을 놓으면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 등에 차질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2년 전인 2017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1만5천여 명이 파업했을 땐 천929개 초중고의 급식이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는 기본급 6.24% 인상과 다른 수당에서 정규직과 차별 해소를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자신들과 같은 교육 공무직을 초중등교육법상 교직원에 포함할 것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교육부와 17개 교육청은 지난달 27일 교섭에서 기본급만 1.8% 올리고 다른 요구사항은 수용하지 않은 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의 의견 차이가 현격해 막판 교섭 타결은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총파업이 취소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군요. <br /> <br />그럼 교육 당국은 비상일 텐데요. <br /> <br />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각 시도 교육청별로 파업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교육청은 파업참가율 등에 따라 식단 간소화를 검토하고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싸 오게 하거나 학교에서 빵과 우유 등을 제공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돌봄교실 등 다른 교육활동 지원업무는 교직원을 활용해 차질없이 운영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다른 시·도 교육청도 서울과 비슷한 대책을 마련해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초등학교는 급식이 필요 없도록 수업 단축이 가능하고,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대부분 파업 기간 기말고사를 치르는 만큼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돌봄교실은 교직원이 임시로 맡아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김종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70114385635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