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미 정상의 판문점 전격 회동을 통해 비핵화 실무 협상의 3라운드가 펼쳐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북미 양측 모두 정통 외교 라인으로 창구를 재정립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가 그 면면을 짚어 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매체들은 120일 만에 재회한 북미 정상이 '단독 환담'에 이어, '회담'을 이어갔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순한 전격 만남이 아니라, 양측의 외교 수장까지 배석한 공식 회담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 TV : 회담에는 우리 측에서 외무상인 리용호 동지가 상대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합중국 국무장관이 참석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로써 앞으로 북미 고위급 회담 상대는 리용호 외무상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북측은 그동안 폼페이오 장관의 교체를 줄기차게 요구해 왔지만,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훌륭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주도로 앞으로 2∼3주 동안 실무적인 작업 진행될 겁니다.] <br /> <br />그 아래 실무 협상 라인으로는 일단 최선희 북 외무성 제1부상과 스티븐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최선희는 전격 만남을 제안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에 공식 담화로 호응하면서 '하노이 노딜'을 만회한 1등 공신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비건 역시 하루 전날 판문점으로 들어가 북측과 이번 만남을 최종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은 / 北 국무위원장 : (트럼프) 대통령께서 그런 의향을 표시하신 걸 보고 나 역시 깜짝 놀랐고, 정식으로 오늘 여기서 만날 걸 제안하시는 말씀을 오후 늦은 시간에야 알 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결국, 북측은 하노이 회담을 주도했던 김영철 통일전선부장과 김혁철 대미특별대표를 모두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선수교체는 없었기 때문에 양측이 정통 외교 라인으로 협상 창구를 재정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차관급인 최선희와 차관보급인 비건의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북한이 대미 특별대표를 다시 선임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70117565049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