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? <br> <br>한일 관계가 최악을 맞은 가운데 일본 정부가 경제 보복 조치를 내렸습니다. <br> <br>그것도 우리의 핵심수출품인 반도체 TV 디스플레이를 정조준했습니다. <br><br>이번 결정은 일제시대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일본기업이 배상하라는 우리 대법원의 판결에 대한 보복입니다. <br><br>일본 정부가 직접 밝혔습니다. <br><br>동시에 아베 총리가 며칠 전 G20 정상회의에서 그토록 강조했던 '공정한 무역질서'를 스스로 뒤엎는 겁니다. <br> <br>오늘 뉴스A는 이 사안을 집중 보도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김범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"오늘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자료입니다. '한국에 대한 수출 관리 운용 재검토’라고 적혀 있는데요, 일본 정부가 한국을 겨냥해 작정하고 경제보복에 나선 겁니다." <br><br>일본은 오는 4일부터 한국에 대한 수출 우대 조치를 철회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일본 기업이 반도체 재료를 한국에 수출하려면 매번 심사를 받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규제 대상은 모두 3가지입니다. <br> <br>TV와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사용되는 품목과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소재 등입니다. <br> <br>이 품목들은 일본이 세계 생산량의 70∼90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조치는 사실상 '수출 금지'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허가까지 3개월 정도가 걸리고, 실제 허가를 받지 못하는 사례들도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또 미국 등 우방국 27개국에 부여해 온 보안품 거래 우대정책에서도 한국을 처음으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일본 정부는 이와 관련해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 차원임을 대놓고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일본 경제산업성 담당자] <br>"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G20까지 확실한 해답을 일본 정부가 요구했지만 (한국 측으로부터) 아무런 응답이 없었습니다." <br><br>그러면서 양국의 신뢰관계가 훼손됐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배상판결과 관련해 우리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오는 21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<br>bsis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용준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