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? <br> <br>아베 총리가 우리를 겨냥한 일본의 경제보복의 전면에 섰습니다 <br> <br>총리가 책임지겠다는 뜻으로, 과거사 다툼을 힘으로 누르겠다는 일본의 압박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. <br><br>실제로 일본 고위 당국자가 "아직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"고 말한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추가적인 조치로는 금융 제재와 여행비자 기간 축소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최악의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틀째 침묵을 지키며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 정다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우리 정부의 세계무역기구 제소 방침에 대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. <br><br>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의 수출규제 강화 발표에 대해 "세계무역기구 WTO의 규칙에 맞다"며 "자유무역과 관계가 없다"고 밝힌 겁니다. <br><br>그러면서 국가와 국가의 신뢰관계 속에서 해왔던 조치를 재검토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한일 신뢰관계가 크게 손상돼 기존의 조치를 수정했다는 것으로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대응 조치라는 점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공식적으로는 보복 조치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] <br>"보복 조치가 아닙니다. 국가 안보를 위해 수출 관리를 하는 관점에서 운용을 재검토했을 뿐입니다.” <br> <br>일본 정부는 추가 보복도 준비하는 모습입니다. <br><br>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가 "아직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”며 가능성을 언급한 겁니다. <br><br>추가적인 보복조치로는 한국 기업 등에 대한 금융제재와 함께 여행비자 기간 축소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아소 다로 / 일본 부총리(지난 5월)] <br>"대항 조치로 생각하는 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, 관세에 한정하지 않고, 송금 정지, 비자 발급 정지 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." <br><br>이와 함께 일본기업 취업 억제 조치 등도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<br>dec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