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문 대통령은 이틀째 침묵…靑, 강제징용 문제에 강경 입장

2019-07-02 1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청와대의 고심이 깊어갑니다. <br><br>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메시지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주까지만해도 '가만있지 않겠다'고 했던 외교부 발언수위를 낮췄습니다. <br><br>마땅한 대응 카드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 이윱니다. <br> <br>이어서 김윤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국무회의] <br>"제26회 국무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." <br><br>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34일 만에 국무회의가 열렸지만,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선 일절 논의가 없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 역시 특별한 대일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습니다. <br><br>청와대 핵심관계자는 "어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게 정부의 공식입장"이라며 "앞으로 추가 발표도 산업부를 통해 나가게 될 것" 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아베 총리에 이어 문 대통령까지 나설 경우 한일간 전면전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'로우키 행보'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대신 외교부와 산업부가 대응에 나섰는데,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인철 / 외교부 대변인] <br>"(우리 외교부의 뭔가 대응책이 있느냐) 이 조치를 철회할 것을 촉구합니다, 현재로서는.” <br> <br>수산물 수입 금지나 일본여행 제한과 같은 경제적 맞대응은 실익이 크지 않습니다. <br> <br>결국 외교로 문제를 풀 수밖에 없지만 청와대는 경제보복의 원인이 됐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에 여전히 강경한 입장입니다. <br> <br>[김윤정 기자] <br>청와대는 과거사와 안보·경제 문제를 분리해서 접근하는 '투트랙 대응'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극단으로 치닫는 한일관계의 출구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<br>영상편집 : 오성규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