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흘째 공개발언을 자제해 온 청와대는 전략적 침묵이란 개념을 들고 나왔습니다. <br><br>일본이 선거를 치르는 이달 21일까지 맞대응을 자제하겠다는 뜻입니다. <br> <br>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와 관련해 청와대는 오늘도 말을 아꼈습니다. <br><br>정부 고위관계자는 "일본 참의원 선거가 치러지는 오는 21일까지는 '전략적 침묵'이 필요한 때"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청와대의 대응 배경에는, 일본이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대응을 하고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습니다. <br> <br>과거사는 타협하지 않되, 경제보복에 대해선 WTO제소, 체질개선 등 경제논리로 맞서겠다는게 청와대의 구상입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참의원 선거 이후 외교적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되는데, 문재인 대통령의 8·15 연설문에 담길 대일 메시지도 한일관계 회복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과거사 문제를 두고 양국이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경색국면이 장기화 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결국 양국 정상이 만나서 문제를 풀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이원덕 /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] <br>"너무 정상간 소통이 단절돼 있는 것 같아서. 일반적으로 소통이 강화되는 게 좋고, 정상 간에." <br> <br>[김윤정 기자] <br>G20 정상회의에서도 한일 정상은 8초간 악수만 나눴을 뿐, 특별한 대화를 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양국 정상이 직접 소통에 나서야 갈등국면을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yjyj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