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를 오늘 새벽 0시를 기해 실행에 옮겼습니다. <br><br>어제 아베 총리가 밝힌 대로 과거사 문제 때문에 가하는 보복조치입니다. <br> <br>한일관계는 정치와 경제 그리고 과거사가 뒤섞여 바닥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마침 오늘은 7월 21일 치러지는 일본 참의원 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날입니다. <br><br>문제는 보복이 더 이어질 것이란 점입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도 1탄, 2탄 이렇게 부르며 연쇄적인 수출제한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<br> <br>첫 소식 도쿄에서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일본 정부가 오늘부터 한국 수출규제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일본 기업이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을 한국에 수출할 때 까다로운 절차를 밟도록 한 겁니다. <br><br>기존에는 한 번만 허가를 받으면 최대 3년 동안 별도의 절차 없이 한국에 수출이 가능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제부터는 일본 기업은 제품명과 판매처 등이 담긴 신청서를 작성한 뒤 경제산업성에 제출해야 합니다. <br> <br>또 심사 기간도 90일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일본 기업들도 당혹스럽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반도체 소재 제조업체 관계자] <br>"업계 모두가 곤혹스러울 겁니다. 갑작스러운 발표 때문에요. 좀 시간이 필요합니다.” <br><br>"파니소닉 등 일본 전자 대기업들도 한국산 반도체 등의 공급 차질을 걱정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일본 대표 기업인 소니는 TV 생산 중단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소니 관계자] <br>"(앞으로 있을) 영향에 대해서 계속해서 동향을 주시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일본 정부는 '2탄 보복'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안보 우호국으로 인정한 '백색 국가'에서 한국을 제외시켜 1천백여 개의 물품들도 허가를 받고 수출하게 만들겠다는 겁니다. <br><br>아베 총리는 "(한국과의) 국제 약속이 백지화됐다"며 "일본도 해야 할 때는 한다”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이번 수출 규제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<br>이런 가운데 일본은 오늘부터 참의원 선거운동에 돌입했습니다. <br><br>아베 정부가 보수층 결집을 위해 참의원 선거 일정에 맞춰 한국 수출 규제를 시행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<br>bsism@donga.com </a><br>영상취재 : 박용준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