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, 안녕하십니까. 아베 총리가 한국을 더 강하게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국의 핵심산업을 옥죄는 무역보복 조치를 두고 한국 때문에 생긴 일이며, 풀어야 할 의무도 한국에 있다는 주장을 오늘도 반복했습니다. <br><br>청와대는 초기에 선택한 전략적 침묵을 깨고 적극 대응한다는 기조입니다. 다음 주 문재인 대통령이 5개 그룹 총수를 직접 만납니다. <br><br>첫 소식, 도쿄에서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연일 한국을 비판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 (그제)] <br>"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무역통제를 하는 것은 국가 의무입니다. 다른 나라가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이전처럼 특혜를 받을 수 없습니다." <br> <br>반도체 소재 3개 품목 수입 규제 조치와 관련해 한국에 책임을 돌리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아베 총리는 방송에도 출연하며 "한일 관계 개선에 대해 지금 공은 한국에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또 "한일 청구권 협정을 지키지 않으면 세계 평화와 안정을 지킬 수 없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우리 정부를 상대로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문제를 해결하라고 압박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집권 여당인 자민당도 21일 열리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에게 이번 수출 규제를 활용하도록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규제 등과 관련해 반한 여론이 형성된 가운데 이번 수출 규제 조치를 활용하면 표를 얻는 데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정치 이슈를 경제 문제로 보복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 <br><br>[후카가와 유키코 / 와세다대 교수] <br>"정경 분리가 안 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겁니다. 트럼프 대통령과 똑같은 행동을 해서는 안 됩니다." <br><br>"이런 가운데 일본 재무성은 수출 규제가 제대로 시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국 세관에 점검 통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"<br>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박용준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