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,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경제보복에 생각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직접 대응은 자제하다가 내놓은 첫 메시지입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"피해가 생긴다면 대응조치를 하겠다“고 강조했습니다. <br><br>일본은 공격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과거사 보복임을 밝혀놓고도 이제는 전략물질이 한국을 통해 북한에 흘러들어가는 듯이 말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주장만 있을 뿐입니다. <br> <br>첫 소식, 김윤정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에 대한 강경 대응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[수석·보좌관 회의] <br>"한국의 기업들에게 피해가 실제적으로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필요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." <br> <br>경제보복 철회를 요구한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대응도 할 수 있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. 또 일본의 경제보복이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됐음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수석·보좌관 회의] <br>"민간기업 간 거래를 정치적 목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문 대통령은 민관이 함께 대응해 나갈 것을 주문했습니다. <br> <br>단기 대응은 개별 기업이 맡고, 중장기 대책과 외교적 해법은 정부가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우선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으로 파견해 미국의 중재를 요청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일본은 경제보복의 원인이 됐던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중재위 구성을 통한 해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일본이 요구한 한국 정부의 답변 시한은 오는 18일까지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과거사에 대해서는 물러설 수 없다는 청와대 방침에 따라 한일간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yjyj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박형기 <br>영상취재 : 박찬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