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최근 구청이나 시청에서 더위를 몰아내기 위해 반바지 입고 있는 공무원, 만난 적 있으신가요? <br> <br>보수적인 공무원 사회에 반바지 문화가 확산될 수 있을지, 염정원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후 2시 서울시청 사무실. <br><br>사무실 이곳저곳을 오가며 업무 중인 남성 공무원을 따라가 보니 반바지 차림입니다. <br> <br>[이승한/서울시 환경정책과 주무관] <br>시원하게 느낄 수 있어서 사무실에서도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고요. 쾌적함도 느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가 지난 2012년 여름철 반바지 복장을 허용한 이후 다른 지자체에서도 반바지를 속속 허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수원시청에선 반바지 출근을 권장하기 위한 패션쇼까지 열렸습니다. <br> <br>[김해숙/서울 중랑구] <br>"공무원들이라고 너무 경직된 복장보다는 여름에 한두 달이니까 그 정도는 괜찮을 거 같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." <br><br>체감온도를 떨어뜨려 실내 냉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데 실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실험해 봤습니다. <br> <br>폭염 속 광화문 광장 바닥 온도가 50도를 넘었던 때, 정장을 입은 채 야외에서 10분간 서 있어 보니 몸 표면 온도가 50도를 넘었습니다. <br> <br>재킷을 벗자 40도로 떨어졌고, 반팔셔츠와 반바지를 입으니 36도까지 내려갑니다. <br> <br>하지만 민원인을 만나거나, 외부 일정이 있을 때 반바지를 입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. <br> <br>공개 일정에서 반바지 입은 지자체장을 보기 어려운 이유입니다. <br> <br>[신상우/서울 강서구] <br>"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이면 글쎄 좀 보기도 그렇고. 저희 나이 또래에서는 찬성하고 싶지 않습니다." <br><br>공무원 사회의 반바지 문화, 시원함과 단정함 사이 균형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추진엽 <br>영상편집: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