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일본이 문재인 대통령의 어제 제안에 응할 뜻이 없음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일본의 경제보복을 두 나라가 협의해 풀자는 제안을 하루만에 거부한 겁니다. <br> <br>일본이 1차적으로 바라는 것은 우리 정부가 강제징용 판결의 해결책을 먼저 내놓으란 겁니다. <br> <br>시한도 이달 18일로 못박아뒀습니다. <br><br>오늘도 해법찾기가 쉽지 않은 한일 갈등으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첫 소식, 도쿄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어제 수석·보좌관회의] <br>"일본 측의 조치 철회와 양국 간의 성의 있는 협의를 촉구합니다." <br> <br>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를 철회하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요구를, 일본 정부가 사실상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[세코 히로시게 / 경제산업상] <br>"(이번 조치는) 일본 국내 운용을 재검토 한 것으로, (한국과의) 협의의 대상이 아니고, 철회도 전혀 생각지 않고 있습니다." <br> <br>세계무역기구 규정 위반이라는 지적도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세코 히로시게 / 경제산업상] <br>"한국에 대한 우대 조치를 취소하고 다른 나라처럼 통상 수출 관리 대상으로 돌아가는 겁니다. WTO 규정상 문제가 없습니다." <br> <br>그러나 한국의 수출관리에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는 오늘도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비슷한 시각, 똑같은 메시지가 관저에서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관방장관] <br>"협의의 대상이 아니고, 철회는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." <br> <br>[김범석 특파원] <br>"이같은 협의 거부는, 한국에 대한 강경책을 주도하고 있는 아베 총리의 의중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<br>한 한일 외교 소식통은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, 우리 정부가 물밑에서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지만, 아베 총리는 “한국이 강제징용에 대한 진전된 대책을 갖고 오지 않으면 대화를 하지 않겠다”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손진석 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