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총수들 불러 머리 맞댔지만...단기 대책 부족했던 '120분' / YTN

2019-07-10 6 Dailymotion

문재인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의 일본 수출 규제 조치 대책 회의에서는 수입처 다변화나 국산화 같은 장기적인 대책이 주로 논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무역제한 조치를 철회시킬 상응 조치 같은 단기 대책은 부각 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의 수입 제한 조치 이후 처음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의 대책 회의. <br /> <br />자산 10조 원 이상 대기업집단 총수나 대표자 30명과 경제 단체장 4명이 노타이차림으로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조 / 청와대 정책실장 : 현대차그룹, 그 다음에 효성그룹의 소재, 부품과 관련한 말씀을 듣고 일본에 여러가지 네트워크 갖고 계시는 롯데그룹, 미래에셋그룹 그 다음에….] <br /> <br />처음 순서만 정해놓고 자유롭게 토론이 이뤄졌는데, 대기업 총수 20명이 두 시간 동안 발언을 이어가며 진단과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인들은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에 공감하고 부품 산업 강화를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기문 / 중소기업중앙회장 (오늘 청와대 간담회 참석) : 부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선 대·중소기업이 협력해야 하고 대기업의 매출처가 중소기업에 보장돼야 (중소기업이) 적극적으로 빠른 시간 안에 개발할 수 있다.] <br /> <br />단기간에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인수 합병 검토 필요성과 일본 말고 독일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고민정 / 청와대 대변인 : 특정 국가의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특히 화학 분야에 있어서는 강점이 있는 러시아, 독일과의 협력 확대를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한 전자 주력 그룹 회장은 소재나 부품의 국산화율이 낮다면서 긴 호흡으로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요청했고, <br /> <br />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국내에 소재 양산 체제를 갖추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된 사례도 소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이번 조치가 한일 관계에 도움이 안 된다는 부분을 민간 차원에서 설득하고 문제를 풀기 위해 기업 간에도 대화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언급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롯데 신동빈 회장은 일본에 출장 중이라 다른 고위 임원이 대신 왔고 대림과 부영, S-Oil은 참석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만남에서 당장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단기 대책은 외교적 대응 말고는 나오지 않았다고 참석자들은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곧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71021515211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