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는 일본을 겨냥한 첫 압박카드를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일본이 경제보복의 근거로 삼는 전략물자의 밀수출과 관련해서인데요. <br> <br>국제기구가 한국과 일본을 공동조사하도록 하자고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손영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청와대가 반격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김유근 /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 사무처장] <br>"유엔 안보리 전문가 패널 또는 적절한 국제기구에 한일 양국의 4대 수출통제체제 위반 사례에 대한 공정한 조사를 의뢰할 것을 제의합니다." <br> <br>우리 정부의 잘못이 없다는 결론이 나오면 일본 정부는 사과와 함께 수출 규제조치를 즉시 철회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일본은 경제보복의 명분으로 처음에는 강제징용 문제를 거론했다가 이후 신뢰, 안보로 바꿔왔습니다. <br> <br>[니시무라 야스토시 / 일본 관방부 부장관 (지난 8일)] <br>"부적절한 사안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. 다만 그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는 것은 삼가고 싶습니다." <br> <br>일본이 내세운 주장이 근거가 없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알리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정치권도 일본 압박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하태경 / 바른미래당 최고위원] <br>"이란 등 친북국가에 대량살상무기 물자를 밀수출한 나라도 일본이었다." <br> <br>하 의원은 일본 경시청이 발표한 대량살상무기 관련 부정 수출 사건목록을 공개하며 2006년 10월 이후 부정 수출사건은 16건이나 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