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름철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면 도로 곳곳이 물바다가 되곤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때 차량 엔진에 빗물이 들어가면 차를 아예 못 쓰게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차량 침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지, 백종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로를 달리던 차량이 물이 고인 웅덩이를 만납니다. <br /> <br />앞선 차를 따라 조심스럽게 들어가 보지만, 야속하게도 차량 시동이 꺼지고 맙니다. <br /> <br />운전자는 차량에 갇힌 채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차량은 흙탕물을 빠져나가려다가, 넘친 빗물에 그대로 멈춰 섭니다. <br /> <br />한 보험회사로 접수된 자료를 보면,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차량 침수 피해는 국지성 호우가 자주 내리는 7·8월에 집중됐고, 늦은 태풍이 한반도를 지나는 10월에도 피해가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침수 사고는 엔진이 망가지는 경우로 이어지기 쉬워, 수리비를 말하는 차량 손해액도 일반 사고의 7배에 가까웠습니다. <br /> <br />차량 별로 엔진 흡입구가 위치한 높이가 최대 25cm가량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흡입구 위치가 비교적 낮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에 쉽게 물이 유입돼 침수도로를 운행할 때 특히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외제 차는 흡입구 높이가 낮은 경우가 많아 국산 차보다 침수 피해가 더 잦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를 막으려면 운행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, 어쩔 수 없이 물이 불어난 곳을 지날 때는 천천히 저단으로 정차 없이 한 번에 통과하는 것이 좋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침수구간에서 차량이 멈추면, 시동을 걸거나 기기 조작을 하지 말고, 견인차를 불러 차량을 빨리 빼내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이성렬 /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 : 앞차가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본인의 차는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기본적으로 자기 차량의 특성을 이해하고 진입하지 않는 게 가장 좋겠고요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비가 올 때 침수 취약 도로를 지나지 못하게 하거나 하천 주변 주차장에 세워진 차량은 차주 동의 없이 이동이나 견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[jongkyu8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71313344845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