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2와 퀸, 세계적인 록스타들의 내한 공연이 올 하반기부터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여느 때보다 '록' 열기가 뜨거울 것 같은데, 국내 록 페스티벌은 오히려 최악의 위기를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된 일인지, 박서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일랜드 록 밴드 'U2'가 오는 12월 결성 43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을 찾습니다. <br /> <br />앨범 판매 1억8천만여 장, 22차례 그래미상 수상 등의 업적을 세운, 사회 이슈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록밴드입니다. <br /> <br />영화 '보헤미안 랩소디'로 다시 한 번 한국에서 큰 사랑을 받은 '퀸'도 내년 상반기 한국에서 첫 단독 공연을 엽니다. <br /> <br />보컬 프레디 머큐리 대신 '아메리칸 아이돌' 출신 애덤 램버트가 원년 멤버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, 드러머 로저 테일러와 함께합니다. <br /> <br />'전설'들의 연이은 한국 방문. <br /> <br />'록 스피릿'이 들끓어도 모자랄 판인데, 국내 대형 록 페스티벌 인기는 시들합니다. <br /> <br />세계적으로 록 음악이 침체기를 겪으면서 국내 팬층이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페스티벌도 하나둘 문을 닫아 규모 자체가 작아졌고, 그러다 보니 초청 아티스트 목록이 부실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하이라이트가 될 마지막 무대에 '록' 그룹이 아닌, 1세대 아이돌 댄스 그룹을 부른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몇몇 대형 페스티벌은 주관사가 바뀌면서 잡음이 일었고, 공지나 운영이 매끄럽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작가 / 대중음악평론가 : 과거 록 페스티벌이 차지했던 자리를 일렉트로닉, EDM이나 힙합, 이런 장르들이 대체하면서 섭외력, 출연료나 이런 부분에서 한계가 있다 보니까….] <br /> <br />간판에는 당당히 '록'을 내건 페스티벌, 하지만 본연의 색과 철학을 잃은 모습에 매니아들의 실망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서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19071405514843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