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이 수출 규제 조치를 발표한 이후 말을 바꾸면서까지 압박을 강화하자, 우리 경제계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경련은 경제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수출 규제를 철회하라는 서한은 일본 정부에 보냈고, 기업들도 사태 장기화에 대비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의 수출 규제 발표 이후 한일 긴장이 고조되자 일본 경제단체 게이단렌과 유대 관계가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전경련은 일본 경제산업성에 직접 서한을 보내 수출 규제 취소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경제단체 가운데 공식 입장을 전달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전경련은 일본 측의 조치가 국제가치 사슬을 교란하며 일본 기업과 일본의 대외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정보통신 ICT 산업은 일본이 소재를 수출하면 한국이 반도체와 같은 부품을 생산하고 미국이나 중국, 유럽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가치사슬로 엮어 있어 일본의 조치는 글로벌 ICT 기업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경련은 일본 정부의 조치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유환익 / 전경련 혁신성장실장 : 규제 리스트가 천백 개에 이르고 규제에 들어있지 않아도 규제할 수 있는 '캐치올' 규제가 일본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어 이 품목이 어느 정도 확대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무역협회도 곧 관련 업계의 의견을 모아 일본 경제산업성에 의견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경련 조사에서 응답자의 70%는 이번 수출 규제 조치가 오는 21일로 예정된 일본의 참의원 선거 이후에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람직한 대응 방법으로는 48%가 외교적 대화를 꼽았고 다음이 부품 소재 국산화, WTO 제소 등의 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국내 주요 관련 기업들은 위기 상황에 대비한 비상계획, 즉 컨틴전시 플랜 수립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71518544246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