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보신 것처럼 틀어진 한일관계는 법률적 다툼 대신 양국 정상간 정치적 대타협만이 유일한 해법처럼 보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역할을 나눠 맡는 '투톱 외교'를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지일파인 이낙연 총리의 역할이 커질 것을 예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김윤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국무총리의 외교역할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국무회의] <br>"대통령과 총리가 적절히 역할을 분담해 정상급 외교무대에서 함께 뛸 필요가 있습니다." <br> <br>정상외교를 대통령과 총리가 나눠 수행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. <br> <br>한일간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에 대해 잘 아는 이낙연 총리의 투입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특히 정상외교를 통한 갈등 봉합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문 대통령을 대신해 이 총리가 나서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외교가에서는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간 신뢰가 두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반면 이 총리는 기자 시절 도쿄 특파원을 지냈고, 국회의원 때 한일 의원연맹 부회장을 역임하는 등 지일파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"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이 총리가 역할을 할 수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이 총리 역시 의지를 밝히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낙연 / 국무총리 (지난 9일)] <br>"앞으로도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저의 노력을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." <br> <br>[김윤정 기자] <br>이 총리는 현재 방글라데시 등 4개국을 순방 중인데 오는 22일 오전에 귀국합니다. <br> <br>일본의 추가 보복조치와 참의원 선거가 끝난 뒤인 다음주 정도에 대일특사로 나설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yjyj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