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넘겨진 것은 3급 군사 기밀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비밀 문서 수십 건이 고작 2300만 원에 넘어갔습니다. <br> <br>특히 신분을 숨긴 채 해외에서 목숨걸고 정보활동을 하는 우리의 이른바 '블랙' 요원들 명단까지 넘어갔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권솔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주한 일본대사관에 파견된 자위대 장교 2명이 수집한 군사기밀은 모두 74건입니다. <br> <br>북한과 우리 군의 동향 등 모두 국가 안보와 밀접한 정보였습니다. <br> <br>국군정보사령부 간부 A 씨와 당시 공작팀장을 통해 확보한 군사기밀에는 북한의 해외 군사기술 입수 추진 상황과, 북한 군단의 통화일람표, 단둥 송유관을 통한 외국의 원유 공급 실태가 포함돼 있었습니다.<br><br>2016년 10월 북한의 수중발사탄도미사일, ULBM 개발과 활용 가능성을 분석한 보고서에 이어, 한 달 뒤엔 북한 5차 핵 실험 때 포집된 방사능 물질을 정밀 분석한 결과도 일본 측에 넘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><br>이듬해엔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무수단을 지속적으로 시험발사하는 이유 등 정보도 팔아넘겼습니다.<br> <br>일본 무관이 지불한 대가는 2300만 원이었습니다. <br> <br>해외에서 신분을 숨기고 정보를 수집하는 이른바 ‘'블랙 요원'들의 명단도 유출됐습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신분이 노출된 해외 정보원이 긴급 피신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 <br>kwonso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