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최고급 벤츠 차량은 유엔 제제품목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어떻게 버젓이 밀반입해 쓰는지 추적한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네덜란드에서 출발해 다섯 나라를 거쳤습니다. <br> 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타고 나타난 벤츠 마이바흐 차량. 번호판 없는 이 차량의 가격은 우리 돈으로 6억 원에 달합니다. <br> <br>뉴욕타임스는 최근 유엔 제재 조치를 어기고 벤츠 차량이 밀반입된 경로를 추적했습니다. <br><br>먼저 지난해 6월 벤츠 2대가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에서 컨테이너에 실립니다. 이어 배에 실린 컨테이너는 41일간의 항해를 거쳐 중국 다롄항에 도착합니다. <br><br>이후 컨테이너는 한 달 가까이 다롄항에 머물렀습니다. <br><br>이어 컨테이너는 다시 화물선에 실린 뒤 일본 오사카를 거쳐 지난해 9월 부산항에 도착합니다. <br><br>그리고 당일 컨테이너는 토고 국기가 달린 화물선인 DN5505호로 옮겨집니다. <br><br>이 화물선은 러시아 나훗카항으로 출발했지만 18일 동안 종적을 감췄습니다. <br> <br>부산항을 떠난 뒤 항해 위치를 알려주는 자동선박식별장치를 꺼버린 겁니다. <br><br>뉴욕타임스는 전문가를 인용해 지난해 10월 7일 벤츠 차량이 비행기 편으로 북한으로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고려항공 화물기들이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는 겁니다. <br><br>결국 벤츠 차량 2대를 실은 컨테이너는 4개월 가까이 항해하며 5개 나라를 거친 뒤 북한 평양으로 반입된 겁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는 지난 2월 러시아 나홋카항에서 석탄을 싣고 포항에 입항한 DN5505호를 유엔 대북제재 위반 혐의로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