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은 강제징용 배상문제를 제3국이 참여하는 중재위에서 풀자고 했지요. <br><br>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응할 것인지 답을 내놓으라고 오늘로 시한을 정해놓았습니다. <br><br>우리 정부는 거부했고요. 일본은 추가보복에 나설까요. <br><br>총리 집무실인 총리 관저 앞에 나가있는 김범석 특파원 연결하겠습니다. <br><br>김 특파원. 일본 정부 입장은 뭡니까?<br><br>[리포트]<br>네, 청와대에 이어 오늘 외교부까지 한국은 이미 중재위 거부 의사를 밝혔죠. <br><br>그럼에도 불구하고, 일본은 일단 본인들이 정한 답변 만료시한인 오늘까지는, 한국의 태도 변화를 기다리겠단 입장입니다. <br><br>[니시무라 야스토시 / 관방 부장관] <br>"오늘 자정까지가 시한이고 (한일청구권) 협정상 그 때까지 중재에 응해야 합니다." <br><br>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음에도 기다리겠다는 것은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명분 쌓기로 보이는데요. <br><br>소식통에 따르면 이르면 내일쯤, 일본은 담화문을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해서, 풀겠다는 제안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<br>다만, 제소 시기는 아직 저울질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국제사법재판소로 갈 경우 일본 역시 마냥 유리하지만은 않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이원덕 /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] <br>"지금 경제 전쟁 양상으로 가고 있는 강대강 대치를 풀고 휴전하는 효과를 거둘수 있다…, 시간을 벌고 대화와 법리 논쟁을 통해 평화적으로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." <br><br>경제산업성은 다음 주부터 한국 등 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수출규제 설명회를 열겠다고 했습니다. 당분간 쉽게 보복 조치를 풀지는 않겠단 뜻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