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풍 '다나스'가 북상하면서 지난 4월 대형 산불을 겪은 강원지역도 초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이 불에 타 산사태 위험이 커진 데다 응급복구조차 끝나지 않은 곳이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4월 큰 산불이 났던 강릉시 옥계면, <br /> <br />검게 그을린 나무들이 앙상한 가지만 남은 채 흉물스럽게 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불탄 나무를 베어내 헐벗은 산등성이는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듯 아슬아슬합니다. <br /> <br />조립식 주택에 사는 산불 이재민들은 태풍 북상 소식에 산사태가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산비탈에 임시로 천막을 덮어놨지만 불안을 씻어내기에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[인하륜 /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: 태풍이 바람도 많이 불고 비가 많이 온다고 하거든요. 그래서 이제 나무가 비바람에 집으로 쓰러질까 봐 그게 걱정스럽고 그다음에 돌이 굴러내릴까 봐 굉장히 불안한 상태입니다.] <br /> <br />불이 난 산림은 일반 산림보다 산사태 위험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땅속 유기물이 사라져 빗물 흡수력이 떨어지고 흙을 잡아주는 뿌리의 힘도 약해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강원도 산불 피해 지역 45곳 가운데 3곳은 아직도 응급복구조차 끝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 응급복구를 마친 곳도 임시방편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이렇다 보니 비가 많이 내릴 때는 신속한 대피가 최선입니다. <br /> <br />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경사면에서 갑자기 물이 솟구치면 산사태를 의심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또 비상 상황 시 연락을 취할 시·군 재난안전대책본부 연락처와 대피소 위치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민가가 드문 농촌 지역에서 혼자 사는 노인들은 전화 등 통신 수단을 확보하고 이웃과 연락망을 갖춰야 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[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71921094486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