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홍태경 /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아직까지 피해는 확인된 것이 없습니다만 다행히도. 곳곳에서 지진을 감지하는 제보가 잇따랐습니다. 전문가 연결해서 관련 내용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연결돼 있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홍태경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일단 규모 3.9의 지진이 발생을 했고 발생 깊이가 11km입니다. 어떻습니까? 지금 구미, 청주는 물론이고 경기 일부 지역까지 흔들림이 느껴졌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의 진동인가요? <br />[홍태경] <br />진앙 지역에서는 진동 4에 해당하는 흔들림이 있었다고 알려지고 있는데요. 진도 4 정도 되는 흔들림이면 진앙지 인근에 있는 어떤 가옥에서도 느낄 수 있는 정도고요. 가옥 내에 있는 기자재라든가 시설물도 일부 손상을 볼 수 있는 큰 흔들림이 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제도 상주 지역에서 지진이 있었고 또 지난 2일에 경북 지역에 2.7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왜 이렇게 지진이 계속 발생하는 거죠? <br /> <br />[홍태경] <br />우리가 지난 2016년에 경주 지진이 있었고요. 경주 지진은 1978년 관측된 이래 가장 큰 지진이 되겠습니다, 규모 5.8이었고요. 그리고 그 이듬해인 2017년도에 물론 지열발전소 영향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포항 지진이 또 발생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교롭게도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은 각각에 위치한 위치로부터 북서쪽 방향으로 많은 응력을 쌓아놓게 되는데요. 바로 그 위치에 상주가 위치하고 있습니다. 이 상주 일대는 경주 지진 이후로 특히나 지진 발생 빈도가 눈에 띄게 증가했는데요. 오늘의 지진까지 이르고 있습니다. 그래서 이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에 의해서 내놓은 응력이 해당 지역에 지진을 계속 유발하는 걸로 평가가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제가 급하게 찾아보기는 했습니다만 4월에 박사님께서, 교수님께서 인터뷰한 내용을 보니까 그 당시에도 지진이 결코 우연이 아니다. 동해나 동해 쪽 육상에서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, 경고를 하셨거든요. 왜 우리가 동해를 주목해야 되는지 부연설명해 주시죠. <br /> <br />[홍태경] <br />이것도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. 우리가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 의한 여파로 한반도에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서 경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72112575693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